
장인하면 이태리고 이태리하면 가방 아니면 보석이 떠오르는 건 왜일까요. 한국하면 삼성이 바로 떠오르는 것처럼 이태리하면 명품 가방을 비롯한 불가리부터 떠오릅니다. 불가리 못지 않게 이태리 및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고 있는 보석 명품 브랜드를 찾아 봤습니다. 일단 알고 있으면 여러모로 도움이 되겠죠. 이태리 명품 보석 불가리와 부첼라티 차이 1919년에 태어난 이탈리아 보석 명품 부첼라티는 흔하지 않은 원석 표면에 화이트와 골드로 조화를 이룬 특징이 있습니다. 금속 표면에 텍스쳐를 새김질한 리가토 각인 기술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한편 새로운 보석 디자인의 장을 연 불가리는 1905년 그리스인 불가리가 이탈리아 로마에 설립한 보석 브랜드입니다. 불가리는 명품이지만 향수도 유명해서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듯합..

최근 재벌집 막내아들에서 모현민 역의 박지현의 매력적인 연기와 물 오른 미모가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신인배우도 아니고 연식이 좀 된 배우가 갑자기 뜬 이유가 뭔가 했더니 그녀의 외모가 사뭇 달라졌던 겁니다. 바로 다름 아닌 얼굴살을 보충해서 인데요. 과거 얼굴살이 없었을 때는 평범하고 오히려 빈티가 나 보일 정도였는데 얼굴살이 채워지니 세상 부티 나고 근사하고 아름다운 배우로 탈바꿈한 것입니다. 몸은 말라도 얼굴살이 매끈하게 차 오르니 세상 달라 보이는 걸 보면 아무래도 얼굴살은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게 더 있어 보이고 아름다워 보이는 것 같습니다. 배우 박지현을 통한 얼굴살 없을 때와 있을 때 차이 배우 박지현은 데뷔 전 몸무게가 80킬로에 달할 정도로 체중이 나갔었다고 하는데요. 배우 데뷔하면서 급격..

15세기 수많은 그림의 모티브로 등장한 지오반나 델리 알비치 이야기입니다. 피렌체 가문의 일원으로 그보다 훨씬 유명하고 친척뻘에 속하는 로렌초 토르나부오니 가문과 결혼한 여성입니다. 그녀는 1486년 17세의 나이에 로렌초 토르나부오니와 결혼하였습니다. 그러나 1487년에 아들을 낳은 후 다음 해에 둘째를 출산 중 사망하고 맙니다. 짧은 인생을 살았지만 그녀의 초상화는 후세까지 깊은 영감을 주면서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었습니다. 피렌체 여성들의 뷰티 아이콘 지오반나 델리 알비치 그녀는 패션 리더라기보다 아름다움과 미덕의 귀감으로 기억하는 것이 좋습니다. 불그스름한 금빛 머리카락과 창백한 피부와 규칙적인 이목구비로 그 시대의 이상적인 아름다운 여성상으로 추앙받았습니다. 이 그림은 너무도 유명해서 미학적 ..

요 며칠 엄청 화제가 되고 있는 송중기의 여친 케이티 루이스 사운더스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배우 출신의 그녀는 상당히 다국적인 커리어를 가지고 있는데요. 이국적이면서도 동양적인 느낌도 있는 매우 매력적인 여성으로 보입니다. 그녀의 필모와는 별개로 빼어난 외모에 감탄했는데요. 송중기가 보통 눈이 높은 사람이 아니구나,를 새삼 다시 깨닫게 됩니다. 케이티 사운더스의 얇은 입술에 반하다 특히 블로거는 케이티의 얇은 입술 그리고 음푹 들어간 입매가 상당히 지적이고 아름답게 보였습니다. 요즘은 입술이 툭 튀어나오거나 볼륨 있는 입매가 유행이어서 얇은 입술이 유행에서 멀어진 감이 있는데요. 모처럼 케이티의 얇은 입술을 보니 더욱 희귀템스럽고 매력이 더해 보입니다. 물론 케이티가 입술만 예쁜 것은 아닙니다. 171c..

어설프고 인위적으로 높은 코보다는 작고 앙증맞은 코가 더 나을 때가 많습니다. 더군다나 미인 중에는 콧대는 높아도 의외로 코 작은 연예인도 많다는 사실. 그중에서 국내에 대표적으로 코가 작은 미인 중에는 코 찡끗 미소로 유명한 김혜수와 전도연 그리고 송혜교나 손예진 등이 해당할 겁니다. 코가 작은 미인 특징 여성은 남성보다 코가 튀지 않고, 그러니까 적당히 높되 크지 않은 걸 바람직하게 보긴 합니다. 최근 들어서는 코 큰 미인들이 대거 등장해서 이 말도 무색해질지 모르겠지만요. 일단 여성이 코가 작으면 눈도 더 커 보이고 입술도 부각되니 이목구비가 더 예뻐 보입니다. 코가 크면 남성적이고 나이도 들어 보이는 경향이 있지만 코가 작으면 지극히 여성스러우면서 어려 보이는 특징도 있습니다. 다소 카리스마가 떨..

눈썹은 인상 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래서 눈썹은 눈에 띄는 것보다 이목구비에 묻혀 자연스럽게 보이는 게 상책입니다. 시선이 눈썹 형태에 머물러 있으면 그걸로 인상 결정 나고 다른 장점은 보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가급적이면 유행과 무관하게 자신의 고유 눈썹 형태에서 약간만 다듬고 그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유행에 따라 바뀌는 눈썹 모양 그렇지만 여성들은 워낙 유행에 민감하기 때문에 따라하고 싶은 욕망이 생기기 마련입니다. 특히 예쁜 연예인이 눈썹 형태를 바꾸면 곧장 바꾸곤 하죠. 그래서 시대별로 가는 눈썹도 유행하고 굵은 눈썹도 유행하고 그런 것입니다. 연예인들도 유행을 주도하기보다는 시류에 편승해서 자신의 본래 눈썹 형태를 자주 바꾸는 경향이 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

이제 일자 눈썹은 유행 트렌드에서 서서히 사라지는 추세가 되면서 90년대 유행한 각진 눈썹이 유행하는 분위기인데요. 자칫 잘못 그리면 굉장히 사나워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서 그려야 합니다. 그렇다고 눈썹을 너무 둥글게 그리면 하회탈처럼 보일 수 있으니 적당히 엣지있게 그려야 되겠죠? 90년대 유행한 각진 눈썹과 2000년대 각진 눈썹 보기 90년대는 대부분의 여성들 화장 스타일이 눈썹을 각지게 표현하는 거였습니다. 눈썹 산을 잔뜩 올려서 그리고 눈썹 뼈 부위에 하이라이트를 강조하였습니다. 그래서 성숙하고 다소 사나워 보이기도 했는데요. 점차 눈썹산이 낮아지면서 2000년대 들어서는 일자 눈썹이 대대적으로 유행하게 됩니다. 각진 눈썹이 2010년대는 거의 사라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요...

장미과 교목에 속하는 살구나무는 2000년 전 중국인들이 처음 재배하였습니다. 이후 실크로드를 통해 서양으로 전달되었고 1세기경에는 페르시아에서 로마와 그리스 등으로 재배되기 시작합니다. 그리스 사람들은 살구를 서아시아의 고대 국가 아르메니아에서 온 것으로 생각해서 아르메니아 애플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살구는 영어로 애프리코트 apricot이지만 살구나무 학명은 아르메니카 armeniaca인 이유가 이 때문이라고 합니다. 살구씨에 관하여 원산지는 중국이지만 현재 살구 나무 최대 생산국은 미국입니다. 물론 남아프리카 호주 등에서도 많이 재배되고 있고요. 살구 열매는 한국인들이 그다지 애호하는 편은 아니지만 서양에서는 가공된 통조림, 잼 등으로 많이 먹는 듯합니다. 국내는 살구를 직접 먹는 것보다 씨 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