갸름하게 돌려깎아 계란형 혹은 거위알처럼 만든 얼굴형보다 네모 반듯한 얼굴이 대세로 떠오르는 경향입니다. 그만큼 개성을 존중한다는 거겠죠. 아마도 배우 정유미가 워낙 네모 반듯한 얼굴형을 하고도 미모가 특출나서 그런 것이 아닐까합니다. 정유미의 나비 효과 과거 박경림처럼 네모난 얼굴을 하면 미인과는 거리가 멀게 느껴졌습니다. 가수 강수지도 네모난 얼굴을 깎아서 갸름하게 만든 뒤에야 청순 미인으로 대접을 받았으니까요. 그러나 이목구비만 개성있게 아름다우면 충분히 미인으로 인정받는 세상이 왔습니다. 사실 네모 반듯한 얼굴 미인의 원조는 장미희죠. 아무튼 장미희의 뒤를 이어 정유미도 우아함과 귀족적인 이미지 그리고 상큼 발랄함까지 겸비하여 독보적인 미인 대접을 받고 있습니다. 물론 호불호가 있긴 합니다. 정유..
1990년대는 메이크업이 전반적으로 짙으면서도 초반과 후반의 눈썹 두께가 확연한 차이가 났습니다. 90년대 초반에는 두껍고 각진 형태가 유행했다면 후반으로 갈수록 얇은 곡선형의 눈썹이 유행해 나갔는데요. 당대 한국 최고의 스타들의 메이크업을 바탕으로 특징을 찾아보겠습니다. 90년대 유행한 짙고 각진 눈썹 1990년대 중후반 메이크업의 가장 큰 특징은 먼저 베이스 화장이 매우 두꺼웠고 짙은 브라운 계통의 화장에 아이라인은 리퀴드 라이너로 그려주고 립라이너는 또렷하게 늘려서 그렸습니다. 그러면서 입술 컬러는 주로 와인이나 짙은 브라운을 발랐고 채도 높은 레드보다는 다소 어두운 레드를 바른 편이었습니다. 또한, 1990년대 초반에서 중반의 눈썹 화장 스타일은 눈썹을 전혀 다듬지 않은 상태에서 전용 펜슬로 짙게..
펭귄 입술에서 돼지 입술까지 시대별로 유행한 입술 모양 및 유행 컬러는 매우 다채로운 것 같습니다. 미의 트렌드가 그만큼 달랐던 것도 있고 제품 기술력은 물론 미디어 매체 등의 발달로 미를 주도하는 스타들의 영향이 그만큼 크다고 볼 수 있겠죠. 1920년대 작은 입술에서 2020년대 과장된 입술 형태까지 유행한 스타일을 추려 보았습니다. 1920년대 유행 입술 모양 1920년대는 입술 구각dl 뾰족하게 날이 선 형태가 유행합니다. 본래 입술 모양보다 훨씬 작게 그려서 잔뜩 오무리고 있는 소위 펭귄 입술 모양이 세계적인 트렌드였습니다. 아마도 클라라 보우의 영향이 크지 않았나 싶습니다. 1930년대 유행 입술 모양 1930년대 유행한 입술 모양은 20년대보다 지적인 이미지가 강조되면서 과장된 요소가 사라진..
눈썹과 눈 사이의 간격을 전택궁이라고 합니다. 즉 눈두덩이 면적을 의미하는데요. 서양인들은 눈을 떴을 때 전택궁이 좁아지는 특징이 있지만 동양인은 감을 때나 뜰 때나 큰 차이가 없습니다. 눈두덩이 면적이 과하게 좁으면 다소 답답해 보일 수 있고 선천적으로 면적이 좁더라도 화장 등으로 충분히 넓히거나 좁힐 수 있기에 성형보다 화장 효과가 탁월한 부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전택궁이 좁은 한국 최고 미인들 유형이니 참고하시길. 고아라와 한소희 고아라와 한소희는 전택궁이 좁은 대표적인 미인이지만 고아라는 전택궁이 넓은 게 더 아름답고 한소희는 좁을수록 매력이 빛나는 편입니다. 다소 동양적인 선을 지닌 고아라는 눈썹과 눈의 간격이 넓을수록 외모가 더 빛이 나는 반면 다소 이국적이며 입체적인 마스크의 한소희..
팔자주름은 선천적으로 생기는 주름이기도 하지만 나이가 들면 누구나 생기게 되는 일종의 노화 주름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팔자주름은 모두가 똑같은 모양으로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혹자들은 팔자주름이 인생 주름이라고 생각하기도 하는데요. 한자로 팔(八) 자와 비슷하다고 해서 팔자 주름이라고 하는 것뿐입니다. 관상학 용어로 법령이라고 하는 이유 스무 살 이후부터 생기기에 성인의 책임을 요하는 선으로 해석해도 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팔자주름은 사람마다 전혀 다른 모양으로 존재하는데요. 이렇게 다양한 모양 때문에 팔자 주름으로 인해 인상이 바뀔 수 있다는 것도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넓은 부채꼴 모양 팔자 주름 웃을 때 다이아몬드형 혹은 넓은 부채꼴 모양으로 넓게 퍼지는 주름은 평소에도 잘 웃고 다니..
19세기 서양 여성들은 오로지 빅토리아 여왕 하나 때문에 창백한 피부가 유행하게 됩니다. 화장하는 것을 극혐한데다 평생 상복을 벗지 않았다고 하는데요. 이로 인해 귀족이나 평민 여성들은 화장을 하지 않으면서도 자연에서 보다 더 창백하고 예뻐 보이는 방법을 고안하기 시작합니다. 창백한 피부 원인 제공자 19세기 중후반 여성들의 화장 스타일을 보면 유독 하얗고 창백한 경향이 두드러집니다. 그 이유는 바로 빅토리아 여왕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여왕은 남편을 잃은 후 평생 상복을 벗지도 않고 화장도 하지 않고 지냈는데요. 이것이 상류층의 문화 및 풍속으로 자리잡게 되면서 평민 사회에도 유행하게 됩니다. 종교적인 영향이 아닌 미망인 여왕 때문이었군요. 그러한 가운데도 건강해 보이는 것에 대해 강박 같은 것이 있었던지..
60년대에 과장되게 표현하던 메이크업 형태는 70년대 들어서면서 얼굴 전체의 풍부한 색조를 부여하는 이미지로 변하면서 복고풍의 우아한 여성미를 과시하였습니다. 그러한 가운데 시간대별로 혹은 기분에 따라 혹은 날씨에 따라 다채로운 화장을 하면서 메이크업으로 기분 혹은 상태를 표현할 정도였습니다. 70년대 메이크업 트렌드 1970년대는 여성의 사회생활이 보다 활발해지면서 아름답게 꾸미고 다닐수록 직장 등에서 더 대우를 받거나 직업 선택의 기회가 많고 사회적으로 유리하다 보니 더욱 외모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70년대 여성에게 화장을 하는 것은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 뿐만 아니라 품위를 지키는 일종의 예의라는 생각이 지배적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특히 미국배우 파라 포셋의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과 메이크업이 70..
1960년대를 요약할 수 있는 또 하나의 키워드는 자유분방함입니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화장을 둘러싼 전반적인 문화도 이제까지 영화 스타들을 중심으로 한 획일적인 모방의 단계에서 벗어나 연령과 대상이 확대되면서 사회 구성원에 따라 표현형태의 다양성, 개성이 중시되어 새롭게 미를 표출하게 되었습니다. 60년대 메이크업 특징 1960년대 메이크업 키워드는 자유분방함입니다. 획일적인 모방의 단계에서 벗어나 타겟층이 확대되면서 사회 구성원에 따라 미를 표출하는 방식이 보다 더 다양하고 개성이 중시되었습니다. 1960년대는 밝고 대담하고 짧고 경쾌하고 실험적인 스타일이 크게 유행하여 기본적인 화장에도 충실했지만 얼굴에 꽃이나 나비를 그려 넣는 일도 잡지 화보 등에는 적지 않게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