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돼지기름부터 식물성 원료 위주로 화장 원료와 기술이 변천하는 과정을 보면서 메이크업 트렌드와 미적 기준도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삼국 시대 이후 어떻게 화장 스타일이 변화했는지 어떻게 오늘날의 화장에 이르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삼국시대 화장 특징
삼국시대 화장 이전 한국 화장의 시초는 아래 링크 참조하시고요. 삼국시대부터 개화기 이후 한국 화장사가 어떻게 변했는지 최대한 간략하게 요약해 보았습니다.
동상 예방을 목적으로 돼지 기름을 바른 것이 한국 화장의 시초
변한 사람들은 추위를 피하기 위해 땅을 깊게 파고 그 안에 들어가 살았습니다. 이들은 겨울에 얼굴에 동상 걸리는 것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돼지 기름을 얼굴에 바르고 다녔고 이를 한국 화장의
winjstyle.blogspot.com
고구려 백제 신라 시대 비슷하면서 다른 메이크업 특징입니다. 고구려는 남녀 기백을 엿볼 수 있을 정도로 화장 스타일이 과감한 편이었습니다. 고구려 벽화 등을 보면 여성들이 머리를 단정하게 빗고 눈썹을 짧고 뭉툭하게 다듬은 흔적을 엿 볼 수 있으며 볼이 붉게 물든 것도 알 수 있습니다. 여성뿐 아니라 남성들도 머리를 뒤로 묶고 붉은색을 이마에 바르고 머리에 금칠을 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용맹하고 기백 있는 화장을 추구한 반면 백제인은 상당히 수수하고 자연스러운 화장을 추구했는데요. 요즘처럼 티 안 나게 감쪽같은 화장을 하고 다닌 걸 보면 제품력보다는 손기술이 우월한 민족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에 비해 두 나라보다 화장은 늦게 시작했지만 기술 및 제품 개발력이 뛰어났던 신라인은 남성들이 여성보다 더 요란하게 화장하고 다닌 걸로 유명합니다. 특히 신라의 화랑들은 얼굴을 하얗게 분칠하고 잇꽃으로 연지를 만들고 이마와 뺨 그리고 입술에 바르고 다녔다고 합니다.
7세기 연분이라는 대 발명품 탄생
예나 지금이나 남성이나 여성이나 하얀 피부는 신분 상승을 의미한다고 여긴 것인지 그만큼 이뻐 보인다고 여긴 것인지 피부를 하얗게 보이는 것에 상당히 치중한 흔적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서양인들이 납 가루를 얼굴에 발라 댔을 때도 한국인은 천연 식물성 원료인 분꽃에서 나온 가루나 쌀가루 등 곡식의 분말이나 조개껍데기를 빻은 가루를 이용해 피부를 하얗게 만들었다고 하니 선조들의 지혜가 정말로 놀랍습니다.
하지만 한국인이 서양인보다 많이 뒤처지는 게 있다면 아무래도 향료겠죠. 피부는 자연스럽게 하얗게 유지가 가능했을지 몰라도 특유의 비린내는 해소하지 못한 겁니다. 하지만 점차 문명이 발달하고 무역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서역에서 향료를 비롯한 문화 습관도 들어오면서 목욕이 대중화되고 콩비린내 없이 향료로 비교적 향긋한 삶을 영위하게 됩니다. 점차 일본과 중국 등에 화장품을 수출할 정도로 기술 수준도 높아졌고요. 그렇게 나름 제품도 발달하고 기술도 발달하면서 여성들은 가늘고 섬세한 형태의 눈썹을 그리며 비단 향주머니를 차고 다녔다고 합니다.
'메이크업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70년대 유행한 메이크업 스타일 (0) | 2022.11.23 |
---|---|
1900년대 한국 화장의 역사 (1) | 2022.11.22 |
21세기 메이크업의 정의 (0) | 2022.08.30 |
최초의 화장은 문신에서 시작 (0) | 2022.08.15 |
1990년대 유행한 컨투어링 메이크업 (0) | 2022.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