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국의 화장 역사에 관해서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고 의미도 다르겠지만 가장 오래되고 합리적인 근거로 고대 만주 두만강 유역에 위치한 읍루인의 역사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동북 지역에 속하는 이 지역은 엄청 추웠기에 사람들이 추위를 피하기 위해 땅을 깊게 파고 안에 들어가 살았습니다.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화장을 시작한 한국인?

 

고대 화장의 목적은 외관상 예뻐 보이게 하기 위함이 아닌 외부로부터의 보호가 목적이었습니다. 특히 추위에 살이 트는 것을 막기 위해 돼지 기름을 바른 것이 화장의 시초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돼지기름은 현대 의학에서도 화상 치료나 중금속 해독에 좋은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돼지기름은 피부 연화 작용이 뛰어나 유럽에서도 오래전부터 크림 원료로 이용해 왔다고 합니다. 

 


추운 지방은 보호 목적 따뜻한 지방은 장식 효과

 

 

 

추운 동북쪽 읍루인들이 돼지 기름을 얼굴에 발랐다면 반대로 따뜻한 남쪽 지역에 사는 변한인들은 치장의 목적으로 조개껍데기 등의 장신구를 이용해서 멋을 내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인상적인 점은 추운 지방에는 돼지기름을 얼굴에 발라 미용보다는 보습과 보호에 주력하였고 남쪽 따뜻한 지방에서는 장식에 주력한 점이 흥미롭습니다.

 

 


 

쑥과 마늘도 미백 효과

 

그러나 알고보면 단군 신화 속 쑥과 마늘을 먹고 인간이 된 곰이 화장을 최초로 실천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쑥과 마늘이 건강에도 좋지만 무엇보다 미백 효과에 탁월하다는 것은 이미 현대 의학에서도 검증된 사실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한국인은 일찍부터 백색 피부를 좋은 얼굴을 의미하는 호상이라고 해서 좋아했다는데요. 미남 미녀를 숭상하는 경향이 강해서 다른 어떤 민족보다 아름다움과 청결을 존중하였습니다. 그리고 화장의 개념도 디테일하여 현대 메이크업 수준의 변신하는 정도를 야용이라고 해서 경멸하였지만 깨끗하고 맑은 피부를 강조하며 은은하게 표현하는 것을 진정한 미용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