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동안 대한민국 여성들은 희다 못해 창백한 피부가 대 유행이었습니다. 그러다 마스크 쓰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억지로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창백한 피부가 되고 말았는데요. 조만간 건강한 구릿빛 피부가 유행하지 않을까 합니다. 유행은 돌고 도는 법이니까요.

 

 

창백한 피부과 구릿빛 피부 비교

 

 

 

 

2010년대 최고의 핀업걸 설현은 압도적인 뒤태 미녀로 한국을 술렁이게 하였습니다. 본디 까무잡잡한 피부색을 버리고 창백한 메이크업을 해서 다소 언밸런스한 부분도 있었는데요. 본래 자신의 피부색의 매력을 살리면 훨씬 더 섹시하고 건강하고 매력적인 이미지로 거듭날 것 같습니다. 하얀 가부키 스타일 화장은 벗고 건강한 구릿빛으로 올해 퀸으로 다시 정상 탈환하길 기대합니다. 

 

구릿빛 피부는 남성도 여성도 좋아할만한 컬러 이슈

 

 

 

 

페미니즘이 만연하는 요즘 시대에 창백한 흰 피부는 나약함을 강화할 뿐입니다. 몇 년 동안 국민들은 병마와 싸우면서 건강해지기 위한 노력을 해오지 않았습니까? 그러니 병색이 짙어 보이는 창백한 피부는 왠지 꺼려지기 시작합니다. 선천적으로 하얀 피부는 그렇다 치더라도 억지로 피부를 하얗게 유지하였던 분들은 다시 본색을 찾는 게 현명한 처사일 겁니다. 

 

제니도 구릿빛 강화

 

세계적인 스타 제니도 피부가 점점 구릿빛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본래 흰 편이 아닌 제니는 하얗게 화장해도 아름답지만 전신을 구릿빛으로 도색하면 훨씬 더 성숙하고 섹시해 보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여리여리하고 유아틱해 보이기까지 한 창백한 흰 피부보다는 보다 역동적인 느낌의 갈색 피부가 더 근사해 보입니다. 너무 오랫동안 흰 피부가 유행했던 이유는 레드 립스틱 유행과 맞물린 감이 있는데요. 올해는 레드 립 시대가 아닌 촉촉한 글로스가 유행하고 있는 것도 구릿빛 피부와 일맥 상통하는면이 있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건강한 라이프를 반영하는 구릿빛 피부

 

본디 피부가 하얀 피부는 억지로 피부를 까맣게 할 필요는 없어 보이지만 또한, 약간 가무잡잡한 피부를 띤 분들은 그 점을 더 강화해서 윤기나고 멋진 갈색 피부로 변신하면 엄청 건강하고 섹시하고 핫한 걸로 거듭나지 않으려나요? 뭔가 리조트에서 잔뜩 즐기고 나온 느낌이 건강한 라이프를 반영하는 것 같기도 하고요.

 

또한, 피부색은 나라별로 선호도가 다르긴 합니다. 비교적 못사는 나라에는 하얀 피부가 신분을 나타내기도 하고요. 60~70년대 유럽에서는 여가를 즐기는 상류층 사이에서 구릿빛 피부가 유행하기도 했고요. 한국에서도 90년대는 한창 까만 피부가 유행하다가 2000년대 들어오면서 흰 피부를 선호하기 시작합니다. 이제 유행이 다시 돌아올 때가 되고도 남았죠.

댓글
최근에 올라온 글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