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0년에서 1919년 한국은 개항에 따른 다양한 문물이 유입됩니다. 생활관습 등에 큰 변화가 있었고 화장 역시 신식 방법과 화장품이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신식 화장 스타일이 대중화에 성공하지는 못합니다. 1900년대 한국 화장 스타일 1900년대 서민이라는 이름아래 하층민은 조선시대와 다를 바 없이 미개한 생활을 지속했지만, 소위 모더니스트에 분류되는 신여성들은 새로운 문명의 특수를 경험하게 됩니다. 소위 신식 화장품으로 얼굴을 하얗고 뽀얗게 분을 바르고 입술은 빨갛게 바릅니다. 그리고 향수와 비누를 사용하여 강렬한 향을 풍기며 다닙니다. 이와 같은 스타일을 한 여성들은 대중적이지 않았고 극히 드문 편이었습니다. 그렇기에 일반 사람들의 눈에는 상당히 거슬렸을 겁니다. 게다가 이..

디자이너 잔느 파퀸과 폴 푸아레 중심으로 패션 트렌드를 이끌었던 1910년대 스타일은 동양적인 색이 짙으면서 신비스러운 색조가 인기를 끌면서 메이크업 스타일도 색조의 풍부함을 연출하기 시작합니다. 특히 채도가 높은 레드와 핑크 컬러가 등장하였고 속눈썹을 강조한 화장이 크게 유행합니다. 이는 터키 및 중동 지역 여인들 특유의 짙고 검고 풍부한 눈매를 따라한 경향으로 보입니다. 1910년대 메이크업 특징 또한, 눈을 가로로 길게 보이게 하는 아이라인과 미간에 골드 파우더나 강렬한 색을 발라 동양적인 분위기를 배가하는 데 주력합니다. 물론 보편적인 유행 스타일은 아니었지만 일부 트렌디한 신여성들 사이에서 붐을 일으킵니다. 그런가 하면 영국에서는 얼굴에 문신을 하는 법이 등장했는데요. 아이라이너나 입술 등에 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