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여성들은 파란빛이 돌 정도로 하얀 파우더 분에 ‘크레퐁’이란 솜뭉치에 양홍 염료를 묻혀 볼과 얼굴 주변에 붉게 색감을 입힌 화장이 기본이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붉은 터치는 하얀 피부와 대조를 이루어 얼굴이 더 작아 보이게 하는 효과를 가져다주었기 때문입니다. 계층을 구분한 18세기 유럽 볼화장 스타일 그렇다고 아무 붉은 색이나 칠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당시 유럽 사람들은 붉은색의 정도에 따라 계층을 구분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음탕한 일을 하는 여자들은 피처럼 붉은색을 발랐고, 귀족들은 장밋빛을, 궁정인들은 선홍색을 주로 사용하여 은연중에 자신의 신분을 드러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조선 시대 기생 화장 스타일은 화려하고 양반집 규수들은 무난하게 화장한 것처럼 말입니다. 그만큼 얼굴에 바르는 ..

1990년대 중반까지 블러셔 화장은 윤곽수정이 절대적인 목적이었고 브라운이나 핑크 계열의 컬러로 각지게 바르는 게 특징이었습니다. 그러다가 2000년대 중반을 지나면서 블러셔는 동안 표현의 절대적인 아이템으로 부상하였습니다. 위치도 광대뼈를 중심으로 사선으로 칠하던 것에서 가운데 뺨 중심의 애플존에 붉은 색을 옅게 발라 건강한 피부 표현에 주력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시대별 유행한 블러셔 화장 위치 그러니까 현대에 블러셔를 하는 목적은 피부에 생기와 윤곽수정, 그리고 건강한 피부 표현을 위함이고 그에따른 가장 적절한 위치를 애플존으로 지정한 겁니다. 위 이미지 중 왼쪽 김아중 화장은 90년대 유행한 블러셔 위치이고 오른쪽 설리의 화장은 애플존을 강조한 생기 블러셔 위치입니다. 2000년대 들어오면서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