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10년대 보수적이고 지극히 단정하고 엄숙한 깁슨걸 스타일이 유행했다면 1920년대는 이에 반기를 들며 요염함으로 잔뜩 무장한 스타일이 유행하게 됩니다. 1920년대 하얀 피부에서 까만 피부를 선호한 이유 1920년대는 중산층이 등장하면서 여성들도 레저문화를 즐기게 된 점입니다. 수영복을 입고 일광욕을 즐기다 보니 과거 선호하던 흰 피부에서 햇볕에 그을린 피부가 있어 보이는 스타일로 각광을 받게 됩니다. 그래서 서로 경쟁하듯 까맣게 탄 피부를 과시하면서 인스턴트 탠 제품이 출시되고 불티나게 팔렸습니다. 또한, 이탈리아 출신 여왕이 프랑스에 미를 전파한 이후 프랑스 사람들은 이것을 그대로 전수 및 계승하여 프랑스식 뷰티는 전세계인의 환호를 받게 됩니다. 세련되고 우아한 분위기는 부유층 여성들을 열광하게 ..

20세기 여성의 메이크업 스타일은 전쟁 전 여성스러움의 상징이었던 깁슨 걸 스타일에 반기를 든 형태를 드러냄과 동시에 연약함을 연출했습니다. 특히 1920년대는 무절제로 대표되는데 자기 표현과 요염함으로 잔뜩 무장한 스타일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이는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전쟁 후 남성의 부족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사회 분위기는 관능미에 집중한 결과입니다. 1920년대 메이크업 트렌드 1920년대는 역사상 처음으로 얼굴 모양이 국제적으로 관심이 되었고, 일종의 표준화된 미인형 얼굴이 서양 전역에 퍼지기 시작합니다. 이는 매체의 발달과 밀접한데 인쇄 매체 특히 종이 잡지의 확대로 프랑스 여성의 우아함이 세계에 전파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탈리아 출신 여왕이 프랑스에 미를 전파한 줄을 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