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00년에서 1919년 한국은 개항에 따른 다양한 문물이 유입됩니다. 생활관습 등에 큰 변화가 있었고 화장 역시 신식 방법과 화장품이 도입되었습니다. 그러나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신식 화장 스타일이 대중화에 성공하지는 못합니다. 1900년대 한국 화장 스타일 1900년대 서민이라는 이름아래 하층민은 조선시대와 다를 바 없이 미개한 생활을 지속했지만, 소위 모더니스트에 분류되는 신여성들은 새로운 문명의 특수를 경험하게 됩니다. 소위 신식 화장품으로 얼굴을 하얗고 뽀얗게 분을 바르고 입술은 빨갛게 바릅니다. 그리고 향수와 비누를 사용하여 강렬한 향을 풍기며 다닙니다. 이와 같은 스타일을 한 여성들은 대중적이지 않았고 극히 드문 편이었습니다. 그렇기에 일반 사람들의 눈에는 상당히 거슬렸을 겁니다. 게다가 이..
메이크업 스터디
2022. 11. 22. 12:45